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13

Bash VS CMD VS Power shell 평소 메모 앱인 Notion을 사용하여 블로그에 올릴 포스팅을 먼저 작성합니다. Notion을 사용하던 중, code를 입력할 수 있는 부분에 Power shell, Bash, Shell 옵션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정확하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궁금해져서 해당 포스팅을 개제합니다. 배경지식 컴퓨터에서 command-line(커맨드 라인)을 사용하여 command를 작성하고, 화면에 나온 글씨들을 확인합니다. 우리는 그것을 terminal application(터미널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부릅니다. terminal application은 우리가 입력한 command를 shell에 전달합니다. shell은 해당 명령어를 이해하고,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참고로 Shell은 GUI(Graphical User I.. 2022. 6. 6.
[정보처리기사-실기] 12장 제품소프트웨어 패키징 💡 목차 CH01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하기 CH02 제품 소프트웨어 메뉴얼 작성 및 버전 등록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Product Software Packaging) 개발이 완료된 제품 소프트웨어를 고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형태로 포장하는 과정 기능식별→ 모듈화 → 빌드 진행 → 사용자 환경 분석→ 패키징 적용 시험→ 패키징 변경 개선 릴리즈 노트(Release Note) SW의 최종 사용자인 고객에게 정리된 릴리즈를 공유하기 위한 문서 모듈 식별 모듈별 빌드 수행후, 릴리즈 노트에 작성될 내용들 확인 릴리즈 정보 확인 릴리즈 노트 이름, 소프트웨어 이름, 릴리즈 버전, 릴리즈 날짜 등 확인 릴리즈 노트 개요 작성 소프트웨어 및 변경사항 전체에 대한 간략한 내용 작성 영향도 체크 버그나 이슈 관련 내.. 2022. 5. 2.
[정보처리기사-실기] 11장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목차 CH01 운영체제의 특징 CH02 네트워크 계층 구조 파악 ch03 기본 개발환경 구축하기 CH01 운영체제의 특징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사용자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 원도즈(Windows)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맥(Mac) 안드로이드(Android) 메모리 관리 기법 반입 기법: 메모리 적재 시기 결정(When) 배치 기법: 메모리 적재 위치 결정(Where) 할당 기법: 메모리 적재 방법 결정(How) 교체 기법: 메모리 교체 대상 결정(Who) 배치 기법 최초 적합(First-fit):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가용 공간 중에서 첫 번째 분할에 할당하는 방식 최적 적합(Best-fit): 가.. 2022. 5. 1.
[정보처리기사-실기] 10장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 목차 CH01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케이스 설계 CH02 애플리케이션 통합 테스트 CH03 애플리케이션 성능 개선 CH01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케이스 설계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 잠재되어 있는 결함을 찾아내는 일 원리 완벽한 테스팅 불가능: 결함을 줄일 수는 있으나, 결함이 없다고 증명할 수 없음 파레토 법칙(Pareto Principle): 20%에 해당하는 코드에서 전체 결함의 80%가 발견된다는 법칙 살충제 패러독스(Pesticide Paradox): 동일한 테스트를 반복하면 더 이상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 현상 정황 의존성: 소프트웨어 성격에 맞게 테스트 실시 오류-부재의 궤변: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주지 못한다면, 결함이 없다고 해도 품질이 높다고 볼 수는 없다. 프로그램 실행 여부 정.. 2022. 5. 1.
[정보처리기사-실기] 9장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순서 CH01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설계 CH02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현 SW 개발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지켜야 할 일련의 보안 활동 요구사항 명세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3대 요소(CIA) 기밀성(Confidentiality) : 시스템의 정보와 자원은 허용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이 허용됨 무결성(Integrity): 시스템의 정보는 허용된 사용자만 수정할 수 있음 가용성(Availability): 허용된 사용자는 시스템의 정보와 자원을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음 서비스 공격 유형 DoS(Denial of Service) 공격 시스템의 자원을 부족하게 하여 원래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공격 Dos 공격 종류 SYN 플러딩(SYN Flooding): 서버의 동시 가용.. 2022. 4. 30.
[정보처리기사-실기] 8장 서버프로그램 구현 순서 CH01 개발환경 구축 CH02 공통 모듈 구현 CH03 서버 프로그램 구현 CH04 배치 프로그램 구현 개발 도구 분류 빌드 도구 : 작성한 코드의 빌드 및 배포를 수행하는 도구(Ant, Maven, Gradle) 구현 도구: 코드의 작성과 디버깅, 수정 등과 같이 작업시 사용되는 도구(Eclipse, InteliJ, VS) 테스트 도구: 코드의 기능 검증과 전체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xUnit, PMD, Sonar) 형상 관리 도구: 산출물에 대한 버전관리를 위한 도구(Git, SVN, CVS) 개발환경 구축 절차 프로젝트 요구사항 분석 필요 도구 설계 개발언어 선정 구현도구 선정 빌드, 테스트 도구 선정 개발환경 구성 요소 개발환경 구분 하드웨어 개발 환경 서버 하드웨어 개발환경.. 2022. 4. 28.